맞벌이, 한부모, 저소득 가정이라면 정부의 아이돌봄 서비스를 통해 시간제 돌봄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복지로 모의계산기를 통해 자격 여부를 빠르게 확인해보세요.
일하는 동안 아이 맡길 곳이 없다면?
아이를 키우면서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부모가 일을 해야 할 때 아이를 어떻게 돌볼 것인가입니다.
정부는 이런 상황을 돕기 위해 시간제 아이돌봄 인력을 가정에 직접 파견해주는 '아이돌봄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소득에 따라 본인부담금도 낮아집니다.
복지로의 모의계산기를 활용하면 간단히 지원 자격과 부담금 수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이돌봄 서비스란?
아이돌봄 서비스는 맞벌이·한부모·다자녀 가정 등을 대상으로 전문 아이돌보미가 1:1로 가정 방문하여 시간 단위 돌봄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 주요 서비스
- 영아 돌봄 (만 12개월 이상 ~ 만 36개월 미만)
- 유아 및 아동 돌봄 (만 12세 이하)
- 놀이, 식사 보조, 하원 동행, 안전관리 등
가구 소득에 따라 정부가 비용 일부~전액을 지원합니다.
복지로 모의계산기 바로가기
나의 가구 소득 수준으로 정부 지원이 가능한지, 부담금은 얼마나 되는지 복지로 모의계산기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해보세요.
입력 항목 요약
📌 모의계산 시 입력 정보
- 아이 수 및 연령
- 가구원 수
- 맞벌이 여부 / 한부모 여부
- 소득 수준 (건강보험료 기준)
- 기초수급 또는 차상위 여부
입력 결과에 따라 정부지원 비율(10~90%)과 본인부담금이 자동 계산됩니다.
2025년 정부지원 구간 요약
📌 기준중위소득 구간별 정부지원율
중위소득 기준 | 정부지원율 | 시간당 본인 부담금 |
---|---|---|
50% 이하 | 90% | 약 1,200원 |
75% 이하 | 80% | 약 2,400원 |
100% 이하 | 70% | 약 3,600원 |
120% 초과 | 10~30% | 약 7,000~9,000원 |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지원이 많아지고, 실제 부담 비용이 크게 줄어듭니다.
결과 해석 및 신청 방법
모의계산기 결과 화면에서는 다음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지원 가능 여부
- 정부 지원율
- 예상 본인부담금
실제 신청은 아이돌봄 홈페이지 또는 거주지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신청 전에는 반드시 모의계산기로 자격 확인을 해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정리하며
아이돌봄 서비스는 부모의 일·육아 병행을 실질적으로 지원해주는 정부 정책입니다.
매일 아이를 맡길 데가 없어 고민이라면, 지금 복지로 모의계산기를 통해 지원 가능성을 확인해보세요.
지원 자격이 된다면 빠르게 신청하고, 육아와 생계 사이의 부담을 줄이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