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준중위소득표가 발표되면서 복지제도 수급 자격 확인이 중요해졌습니다. 내 가구의 중위소득 구간을 계산하는 방법과 주요 제도 기준을 정리해드립니다.
정부지원금 받으려면 기준중위소득부터 알아야 합니다
근로장려금, 에너지바우처, 주거급여, 긴급복지 등 대부분의 정부 복지 제도는 ‘기준중위소득 몇 % 이하’를 충족해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내 가구가 몇 %에 해당하는지, 2025년 기준은 얼마인지 정확히 모르면 신청 기회를 놓치거나, 반대로 자격도 안 되는데 신청하는 일이 생기죠.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와 내 가구가 몇 % 구간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이란 전국 모든 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입니다.
정부는 매년 물가·임금·경제지표 등을 반영해 각 가구원 수별로 기준중위소득을 고시하며, 복지제도는 이 기준을 바탕으로 50%, 60%, 100% 이하 가구 등으로 지원 대상을 나눕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
2025년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른 가구원 수별 기준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 기준중위소득 100% | 50% | 70% | 120% |
---|---|---|---|---|
1인 | 2,230,000원 | 1,115,000원 | 1,561,000원 | 2,676,000원 |
2인 | 3,710,000원 | 1,855,000원 | 2,597,000원 | 4,452,000원 |
3인 | 4,770,000원 | 2,385,000원 | 3,339,000원 | 5,724,000원 |
4인 | 5,900,000원 | 2,950,000원 | 4,130,000원 | 7,080,000원 |
‘우리 집이 3인 가구고 월소득이 350만 원이라면?’ → 약 70~80% 수준에 해당합니다.
내 가구 중위소득 구간 확인 방법
📌 확인 절차
- ① 가구원 수 파악 (배우자·자녀·부양가족 포함)
- ② 최근 3개월 평균 소득 합산
- ③ 위 표와 비교하여 % 구간 대입
예: 2인 가구, 월 270만 원 소득 → 기준중위소득의 약 70% 수준 → 에너지바우처, 전기요금 할인 등 수급 가능성 있음
보다 정확하게 계산하려면 복지로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기능을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구간별 대표 복지 제도
정부지원금은 보통 아래 구간을 기준으로 자격을 판단합니다.
📌 중위소득 %별 수급 가능한 대표 제도
- 50% 이하: 주거급여, 생계급여, 에너지바우처
- 60% 이하: 긴급복지, 전기요금 감면
- 70% 이하: 자녀장려금, 청년 월세 지원
- 100% 이하: 재난적 의료비, 일부 청약 우선공급
- 120% 이하: 교육급여, 기초연금 일부
내 소득 수준이 어디에 속하는지만 정확히 알아도 적용 가능한 제도를 훨씬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며
정부 복지제도는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지만, 그 기준은 대부분 ‘기준중위소득 몇 % 이하’라는 공통된 원칙을 따릅니다.
내 가구의 소득 수준을 기준중위소득표와 비교해보는 습관은 각종 장려금·감면제도 신청 여부 판단에 큰 도움이 됩니다.
지금 복지로 모의계산 서비스를 통해 내 소득이 어디에 해당되는지, 신청가능한 제도는 무엇인지 확인해보세요.